저는 재고 관리할 때마다 엑셀을 사용했는데, 함수만 잘 활용하면 훨씬 수월하게 관리할 수 있어요.
재고 잔액을 자동으로 계산하고, 물품이 들어오고 나가는 것을 간편하게 관리하는 방법을 소개해드릴게요.
기본적인 재고 관리 구조
재고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다음과 같은 정보를 정리할 필요가 있어요:
- 상품명: 어떤 물품인지 명시
- 입고 수량: 새로 들어온 수량
- 출고 수량: 팔린 수량 또는 사용된 수량
- 재고 잔액: 현재 남아있는 수량
이 정보를 바탕으로 엑셀 시트를 구성하면 좋습니다.
엑셀 시트 구성하기
엑셀을 열어서 아래와 같이 컬럼을 만들어 볼까요?
A | B | C | D |
---|---|---|---|
상품명 | 입고 수량 | 출고 수량 | 재고 잔액 |
이렇게 4개의 열을 만들고, 각각의 데이터를 기입하면 됩니다.
재고 잔액 자동 계산하기
이제 가장 중요한 재고 잔액을 자동으로 계산해볼게요. 재고 잔액은 입고 수량에서 출고 수량을 뺀 값이죠.
1. 함수 입력하기
D2 셀에 아래 함수를 입력해보세요.
=B2-C2
이렇게 하면 D2 셀에 입고 수량에서 출고 수량을 뺀 결과가 자동으로 나타납니다!
2. 함수 복사하기
이제 D2 셀의 오른쪽 아래 모서리를 클릭해서 드래그하면, 아래로 쭉 복사할 수 있어요. 그러면 다른 행에서도 자동으로 재고 잔액이 계산됩니다. 😊
조건부 서식으로 시각적 관리하기
재고가 일정 수치 이하로 떨어지면 알림을 주면 좋겠죠? 이런 경우 조건부 서식을 활용할 수 있어요.
1. 조건부 서식 설정하기
- D열을 선택하세요.
- 상단 메뉴에서 '조건부 서식'을 클릭합니다.
- '새 규칙'에서 '셀 값'을 선택하고 '다음보다 작음'을 선택한 후, 원하는 수치를 입력하세요. 예를 들어, 10으로 설정할 수 있어요.
- 원하는 서식(예: 빨간색 배경)을 설정해주면 끝!
이제 재고 잔액이 10개 이하로 떨어지면, 해당 셀의 색상이 바뀌어서 한눈에 확인할 수 있어요.
자동화 추가하기
조금 더 자동화하고 싶다면, 재고가 부족할 때 자동으로 이메일 알림을 받을 수 있는 방법도 있어요. 엑셀에서는 매크로를 사용할 수 있지만, 이 부분은 조금 복잡할 수 있으니 나중에 차차 배워보는 걸 추천할게요.
엑셀을 활용한 재고 관리, 어렵지 않죠?
이렇게 함수를 사용하면 수작업으로 계산할 필요가 없고, 실시간으로 재고를 확인할 수 있어 정말 편해요.
오늘 알려드린 방법으로 시작해보시고, 필요에 따라 추가적인 기능도 붙여보세요!